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이력 내역서 출력하는 방법

by 강자다 2021. 11. 15.
728x90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신청하기

근로복지공단 홈페이지 위에 보면 초록색으로 되어 있는 고용. 산재 토털 서비스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산재보험과 고용보험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과 사업장으로 구분해서 로그인을 할 수 있으며,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는 개인으로 로그인을 하면 홈페이지 중간에 버튼이 나와 있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산재보험과 고용보험, 그리고 상용직과 일용직을 선택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산재보험과 고용보험의 피보험 자격이력 내역서를 같이 신청할 수는 없고, 2개의 보험을 따로따로 신청해야 합니다. 그동안 가입하였던 모든 사업장의 내역서를 신청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어느 한 사업장만 선택해서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신청을 하면 바로 내역서를 출력할 수 있으며, 메일로 받을 수 있는 선택 기능도 있답니다.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고용보험법의 근거

고용보험법은 1993년 12월 27일 처음 제정을 하고, 1995년 7월 1일부터 시행을 하였습니다. 위의 사진도 1995년 07월 01일의 취득일이 제일 먼저 나옵니다. 다른 사람들도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신청해 보면, 1995년 이전에 취업했던 사람들은 모두 1995년 07월 01일에 가입했던 사업장이 제일 먼저 나와 있을 겁니다. 그런데, 고용보험법을 보면 시행일은 1995년 05월 01일로 나와 있습니다. 법률 시행은 5월 1일부터 인데, 근로자들에게 실제로 적용하기는 7월 1일부터 시작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법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률을 개정하면서 새롭게 만들어낸 법률입니다.

 

고용보험법은 실업을 했을 경우 단순히 실업에 대한 수당만 지급해 주는 것이 아니라, 실업에 대한 예방과 고용을 촉진시키며, 근로자의 직업능력을 개발하고 향상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의 직업을 지도하고 직업을 소개하는 기능을 강화시켰으며, 근로자가 실업이 된 경우에는 가족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급여를 지급해 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근로자의 생활을 안정시켜 주고, 구직 활동을 촉진시켜서 경제와 사회를 발전시키는데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답니다.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이력 내역서의 단점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이력 내역서는 국가에서 지정한 직종을 코드번호로 입력한 상태로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 본인이 그동안 담당했던 정확한 업무의 내용은, 직종에 있는 코드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하면 자신이 담당했던 업무의 경력을 입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홈페이지에서는 고용보험에 가입했던 자격의 확인을 위해서 본인에게 제공해 주는 서비스라고 한정 짓고 있습니다. 다른 기관에 제출을 하거나, 다른 업무로 활용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되면 근로복지공단은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안내를 하고 있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