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학교 재학증명서 발급받는 4가지 방법!

by 강자다 2021. 9. 24.
728x90

대학교 재학증명서 발급에는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인터넷 발급

2. 직접 방문 후 발급

3. 전화 통화로 FAX나 우편 발급

4. 무인민원발급기 발급

이런 4가지 방법에 대해서 순서대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대학교 재학증명서 발급

 

1. 인터넷 대학교 재학증명서 발급

제일 빠르면서도 쉬운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정부 24라는 홈페이지에 들어가 검색창에 대학교 재학증명서라고 입력하고 순서대로 입력해 신청을 하고, 가까운 행정기관인 구청이나 주민센터에서 수령을 할 수 있습니다. 신청은 무료로 가능하나, 수령 기관을 방문해서 수령을 할 때에는 1,000원의 수수료가 부과되며, 현금으로만 지불이 가능하답니다.

 

2. 직접 방문 후 대학교 재학증명서 발급

가까운 행정기관인 구청이나 주민센터에서 신청 후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발급받고자 하는 대학교나 시,도교육청과 교육지원청을 방문해서 발급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직접 방문해서 신청을 하는 경우에는 주민등록증 등 신분증명서가 필요하며, 대리인을 이용해 발급받을 경우에는 위임장 등 정당한 이해관계 등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가 필요하답니다.

 

3. 전화 통화로 FAX나 우편 발급

가까운 주민센터에 전화를 걸어 담당자에게 신청을 하면 팩스나 우편으로 수령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편한 방법이긴 하지만 수령하고자 하는 장소에 팩스가 있어야 하며, 우편으로 수령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며칠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바쁘지 않으면 제일 편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답니다.

 

4. 무인민원발급기 발급

무인민원발급기는 전국에 4,770곳의 설치 장소가 있습니다. 제출해야 하는 장소나, 현재 거주하고 있는 장소에서 제일 가까운 곳에 위치한 무인민원발급기를 검색해서 찾아내고, 방문해서 발급받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구청이나 주민센터 같은 행정기관뿐만이 아니고, 병원이나 마트 같은 사설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무인민원발급기도 있습니다. 편하고 가까운 장소를 찾아서 발급받을 수 있답니다.

 

무인민원발급기의 설치 장소를 찾는 방법은  컴퓨터에서 찾거나 스마트폰에 정부24앱을 설치하면 됩니다. 앱을 설치한 후에 아래와 같은 순서로 검색하면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를 찾을 수 있답니다. 무인민원발급기는 현금이나 카드로도 수수료 결제가 가능하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무인민원발급기 설치 장소 

 

대학교 재학증명서 발급은 국립학교의 각종 증명 발급 등에 관한 규칙 제2조 별표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재학증명서 이외에 학교에서 발급하는 증명서의 종류를 나열해 보겠습니다.

1. 초 . 중등 교육법 제2조에 해당하는 학교에서 발급하는 증명서

 ㄱ. 재학 증명서

 ㄴ. 성적 증명서

 ㄷ. 학교생활기록부 증명서

 ㄹ. 제적(정원 외 관리) 증명서

 ㅁ. 졸업(예정) 증명서

 ㅂ. 교육비 납입 증명서

2. 고등교육법 제2조에 해당하는 학교에서 발급하는 증명서

ㄱ. 재학 증명서

ㄴ. 성적 증명서

ㄷ. 학적부 증명서

ㄹ. 제적 증명서

ㅁ. 졸업(예정) 증명서

ㅂ. 합격 증명서

ㅅ. 입학 증명서

ㅇ. 휴학 증명서

ㅈ. 복학 증명서

ㅊ. 자퇴 증명서

ㅋ. 자퇴 증명서

ㅌ. 학위 수여(예정) 증명서

ㅍ. 복수전공 이수(예정) 증명서

ㅎ. 부전공 이수(예정) 증명서

ㄲ. 교육비 납입 증명서

ㄸ. 교직과정 이수(예정) 증명서

ㅃ. 강사 경력 증명서

 

위에 정리한 민원증명서를 정리한 4가지 방법으로 발급받을 수 있으니, 각자 편한 방법을 사용하시면 된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