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세 과세표준 증명원을 발급받을 수 있는 방법 3가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정부24에서 발급받는 방법
검색창에 정부24로 검색을 한 다음 로그인을 합니다. 자주 찾는 서비스에서 2번째 페이지에 보면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증명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한 다음에 원하는 연도를 입력하고,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증명원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기간은 5년 동안 신고한 부가가치세 과세표준만 발급을 받을 수 있답니다. 또한, 스마트폰으로도 발급을 받을 수 있는데, 휴대폰에 정부 24 앱을 설치하면 컴퓨터와 동일한 순서로 증명원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2. 국세청홈텍스에서 발급받는 방법
국세청 홈텍스에서 로그인을 한 후 윗줄에 민원증명을 선택한 후,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증명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다음에 사업자등록번호를 선택해야 하는데, 여기서 정부 24와 차이가 있습니다. 정부 24는 사업자등록번호를 직접 키보드로 입력을 해야 하는데, 국세청 홈텍스는 사업자등록 번호를 선택을 해야 합니다. 즉, 사업자등록번호에서 V를 누르면 기존에 폐업했던 사업자등록번호까지 다 나옵니다. 이 중에서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증명원을 발급받고자 하는 사업자등록 번호를 선택해야 한답니다. 나머지는 빈칸에 입력을 하고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증명원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다음은 스마트폰으로 발급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인데, 구글의 play 스토어에는 국세청 손텍스라는 앱이 있습니다. 이 앱은 다른 건 다 있는데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증명원만 아직 서비스가 안되고 있습니다. 조만간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노력을 하겠다고 하니 기다려 봐야겠습니다. 다른 서비스는 컴퓨터의 국세청 홈텍스와 순서와 같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위에 정부24와 국세청 홈텍스에서 발급받은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증명원은 똑같은 서식으로 출력이 되며, 단지 국세청 홈텍스에서 발급받은 증명원은 밑에 국세청이라는 글씨가 있습니다. 이 외에는 모두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3.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발급받는 방법
우리나라 전국에는 4,770군데 달하는 장소에 무인민원발급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러자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설치된 장소를 검색하고 위치를 찾아야 합니다. 설치 장소를 찾는 순서를 보면, 고객센터 → 서비스 지원 → 무인민원 발급 안내 → 주소 입력을 하면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해서 부가가치세 과세표준 증명원을 발급받을 수 있답니다. 당연하겠지만 이때에는 수수료가 발생됩니다. 현금이나 카드로도 결재가 가능하고요!
다음은 , 마지막으로 오프라인에서 발급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까운 관할 세무서를 방문해서 신청하면 발급받을 수 있으며, 전국에 있는 주민센터, 즉 가까운 동사무소를 방문해도 즉시 발급이 가능하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