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업안전보건교육을 자체적으로 하기

by 강자다 2021. 12. 27.
728x90

1년에 한 번씩 관리감독자 교육을 받고 있으며, 산업재해가 발생하지 않아 법정 교육시간의 50%인 8시간만 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리감독자 교육을 받는 직원이 산업안전보건 교육을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의 자료를 찾는 방법

매달 1시간과 2시간씩 산업안전보건 교육을 해야 하는데, 어떤 내용을 매달 1,2시간씩 교육을 할 수 있을까요? 어디서 인가 자료를 찾아서, 그 내용을 참조해서 교육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대한산업안전협회의 홈페이지에서 자료를 찾아 매달 교육을 하고 있답니다. 그 자료를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대한산업안전협회 홈페이지에 접속을 합니다. 홈페이지 위에 오른쪽을 보면 자료마당이라는 버튼이 있고, 이 버튼을 클릭하면 안전 자료실로 이동을 합니다. 이 안전 자료실에 수백 건의 안전보건 자료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매달 하나씩 출력을 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직원들에게 산업안전보건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교육이 끝나면, 미리 작성해둔 안전보건 교육일지에 교육을 받은 근로자들의 서명을 받아 보관을 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근거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의 ①항에서는, 사업주가 근로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안전보건교육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규로 근로자를 채용하거나, 작업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안전보건교육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답니다. 그리고, 근로자를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에 채용하거나, 작업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위험한 작업에 필요한 안전보건교육을 추가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을 자체적으로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안전보건교육 기관에 교육을 위탁할 수 있도록 규정하기도 하였습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을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26조 ③항에서는 산업안전보건교육을 자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사람을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1호 나목에서는 관리감독자도 산업안전보건교육을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저는 관리감독자로 매년 대한산업안전협회에서 관리감독자 교육을 받아 왔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법적인 근거로 근로자들에게 매년 산업안전보건교육을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안전보건교육일지를 작성해서 계속적으로 보관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 교육의 교육시간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4에서는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교육시간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1. 정기교육

 1) 사무직 종사 근로자 : 매분기 3시간 이상(매월 1시간 이상)

 2) 판매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 : 매분기 3시간 이상(매월 1시간 이상)

 3) 이 외의 근로자 : 매분기 6시간 이상(매월 2시간 이상)

 

2. 채용시 교육

 1) 일용근로자 : 1시간 이상

 2) 일용근로자 외의 근로자 : 8시간 이상

 

3.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1) 일용근로자 : 1시간 이상

 2) 일용근로자 외의 근로자 : 2시간 이상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