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재무상태표를 표시하는 분류항목

by 강자다 2022. 5. 9.
728x90

어느 특정한 일정 시점에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나 부채와 자본을, 이해관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재무보고서를 재무상태표라고 합니다. 예전에는 대차대조표라고도 불리는 보고서입니다. 어느 기업의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관계자들에게 그 기업의 유동성이나 재무적인 탄력성과 수익성인 위험성 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답니다.

 

재무상태표는 자산과 부채와 자본이라는 구성요소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1) 자산의 분류

: 현재 기업회계기준에서는 1년을 기준으로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1년안에 실현되지 않지만 정상적으로 영업 주기 안에 판매되는 재고자산과, 회수할 수 있는 외상매출금 같은 매출채권은 유동자산으로 분류합니다. 다만, 이러한 내용은 주석으로 기재해 주어야 한답니다.

 

①유동자산 : 당좌자산, 재고자산

사용에 제한을 두고 있지 않은 현금및 현금성 자산을 말하며, 기업이 설정한 정상적인 영업주기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하거나, 판매를 위한 목적과 소비를 위한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말합니다. 또한, 단기간에 매매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유하거나, 보고를 하는 기간 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현금으로 회수하거나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자산을 표시합니다.

 

②비유동자산 :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기타비유동자산

유동자산으로 분류되는 자산을 빼고는 모두 비유동자산으로 분류하고 있답니다.

 

2) 부채의 분류

: 1년을 기준으로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분류하며, 1년 이내에 결제가 되지 않더라고 정상적인 영업 주기 내에 갚을 수 있는 매입채무와 미지급비용 등은 유동부채로 분류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①유동부채 : 정상적인 기업활동에 대한 영업주기 내에 상환하여 없어지는 외상매입금 같은 채무와 미지급비용 등을 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또한,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단기차입금 등도 유동부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②비유동부채 : 유동부채 이외의 모든 부채는 비유동부채로 분류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3) 자본의 분류

①자본금 : 법정 자본금

②자본잉여금 : 증자나 감자와 같이 주주들과의 거래에서 발생되어 자본을 증가시켜 주는 잉여금입니다. 주식발행 초과금이나 자기 주식 처분이익과 감자차익 등의 계정과목을 자본잉여금으로 처리합니다.

③자본조정

④기타 포괄손익누계액

⑤이익잉여금(결손금)

 

이러한 구분 요소 중에서 자산과 부채는 유동성이 큰 항목부터 배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즉, 현금으로 환전할 수 있는 기간이 짧은 항목부터 위에서부터 밑으로 정리하여 표시한다는 겁니다. 계정과목들 중에서 맨 밑에 있는 계정과목은 현금으로 회수하는데 시일이 오래 걸린다는 뜻이겠지요!

 

재무상태표의 자산과 부채와 자본 중에서 중요한 항목은 별도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표시해 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중요하지 않거나 금액이 적은 항목은 성격과 기능이 유사한 항목에 통합하여 표시할 수 있습니다. 그러고, 통합하여 표시하기 적절하지 않은 항목은 기타 항목으로 분류하며 주석으로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