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판매업 신고 방법에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정부 24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위와 같이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회원가입 후 로그인해서 들어간 다음에, 통신판매업 신고로 검색해서 신청을 하면 됩니다. 신청이라고 되어 있는 창을 클릭하면 입력해야 하는 칸들이 나오는데, 통신판매업 신고를 하려면 먼저 사업자등록증과 통신판매 도메인이 있어야 합니다. 저는 네이버의 스마트 스토어 하고 쿠팡에 상품을 올렸는데, 통신판매 신고는 스마트 스토어만 입력을 하였습니다. 또한, 통신판매를 하려면,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을 네이버 파이낸셜 주식회사에서 발급을 받아야 하고요!
통신판매업 신고 방법을 순서대로 진행하려면,
1) 온라인 도메인(저는 스마트스토어하고 쿠팡) 발급
2)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 발급
3) 사업자 등록증 발급(국세청 홈텍스 온라인 발급)
4) 통신판매업 신고증 발급
저는 2020년 7월에 이미 통신판매업 신고증을 발급받은 상태이고, 위의 온라인 신청 내역은 설명하기 위해 다시 한번 온라인 신청을 한 것입니다. 이미 한번 발급받았으니까, 더 이상 발급을 안 해 주겠지요! 온라인으로 하는 통신판매업 신고 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성명, 상호, 사업자등록번호, 연락처, 주소를 입력하고, 인터넷 판매인 경우에 도메인 주소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을 파일 첨부에서 파일 추가를 하고 수령방법에서 어떻게 받을지 선택을 하면 끝난답니다.
2) 시, 군, 구청 방문 신청
또, 다른 방법은 시. 군. 구청에 직접 방문해서 신청하는 방법입니다. 위의 통신판매업 신고증 이미지 위에 보면 발급해준 부서 이름이 있습니다. 어느 부서에서 신고증을 발급해 주는지, 전화로 먼저 문의를 한 다음에 해당 부서를 방문합니다. 다음에, 구매안전 서비스 이용 확인증과 사업자 등록증을 제시하면 담당자가 처리하고 통신판매업 신고증을 발급해 줍니다.
부업을 하기 위해서 찾아보다가 온라인 쇼핑몰을 990,000원을 주고 구입하여 운영을 해 보았지만 실패를 하였습니다. 그래서, 온라인 도매사이트에서 직접 상품을 구매하여, 스마트 스토어와 쿠팡에 1개씩 등록하여 판매하다가, 실적이 미미하여, 프로그램으로 대량등록하여 판매도 해보았습니다. 그렇지만, 상품이 경쟁력이 없는지 판매가 매우 저조했습니다. 그래서, 기존의 상품은 전부 삭제하고, 지역에 있는 업체에 온라인 판매를 하려고 귀사를 방문하고 싶다는 DM을 발송하였습니다. 몇개 업체에서 연락이 와 상품을 1개씩 등록하여 판매를 하였으나, 이 상품도 지방의 이름없는 상품인지 몇개 팔리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스마트 스토어와 쿠팡에 있는 상품을 전부 삭제하고 개점휴업상태입니다. 사업자등록증만 살아있는 상태이고요! 어떤 계기가 다시 생기면, 다시 온라인 판매를 시도해 볼 생각입니다. 통신판매업 신고 방법을 정리해 봤는데, 저 같은 경우에는 누군가 옆에서 가르쳐준게 아니고 유튜브를 통해 공부한 후, 혼자서 진행하느라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 스마트스토어 개설부터 통신판매업 신고증 신청까지 일주일이 넘게 걸렸거든요! 1개 신청하고, 유튜브로 공부하고 하다 보니까 오래 걸렸는데, 누군가가 아는 사람이 옆에서 가르쳐 주었으면 하루나 이틀이면 발급이 가능할 겁니다.
통신판매업 신고 방법 중에서 온라인 방법은 신청을 하고 기다려야 합니다. 시간은 지자체마다 다 달라서 얼마라고 설명하기가 힘듭니다. 그렇지만, 시, 군, 구청에 가서 신청을 하면 10분 정도 기다리면 발급이 됩니다. 그리고, 통신판매업 신고증이 발급되면, 매년 등록면허세가 나옵니다. 저는 매년 11,000원이 고지되고 있답니다.
또한, 사업장을 이전하는 경우에 통신판매업 변경신고와, 통신판매업자가 더 이상 영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휴업신고도 가능합니다.
위의 뉴스를 보면, 통신판매업 신고증 온라인 발급이 2021년 5월 21일부터 시행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저는 2020년 7월 22일에 발급이 되었으니까, 어떻게 발급이 되었을까요? 시청에 직접 방문해서 발급을 받았답니다.
댓글